국내 주식이나 미국 주식이나 어려운건 마찬가지지만,
최근 미국 주식의 투자할만한 회사를 골랐으니
이번엔 국내 주식에서 골라보려 한다.
그 주인공은 바로 LG전자다.

LG전자(066570)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전자기업이다. 우리에게는 가전제품하면 LG지 할 정도의 가전제품의 신뢰도 높은 회사이다. LG전자는 생활가전부터 미디어 솔루션,전장 부품까지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지속적인 혁신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2024년 기준으로 LG전자는 역대 최대 매출 87.7조원을 기록하며 기술 리더십과 시장 확장의 사업 구조를 증명하였다. 본 글에서는 최근 실적 동향과 그리고 투자 유망성에 대해서 찾아 소개하려 한다.
글에는 개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기업 개요와 역사적 배경을 작성해보려 한다.
1. 기업 개요 및 역사적 배경
LG전자는 1958년 금성사로 출발하여 2002년 LG그룹의 전자부문 분할을 통해 현재 체제를 완성했다. 'Life's Good'이라는 철학아래 첨단기술(First), 차별화(Unique), 선도적혁신(New)을 추구하는 F.U.N 전략으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공고히 하고 있다.
1.1 사업 부문별 구조
- HS(Home Appliance Solution): 세탁기, 냉장고 등 전통적 생활가전에서 AI 홈솔루션과 로봇 기술까지 확장
- MS(Media Entertainment Solution): OLED TV, QNED TV 등 프리미엄 AV 제품과 webOS 플랫폼 기반 콘텐츠 사업
- VS(Vehicle Solution): 전기차 구동부품,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 ES(Eco Solution): HVAC 시스템, 에너지 관리 솔루션으로 지속가능성 추구
2. 재무 성과 분석
2.1. 최근 실적 동향
LG전자는 2024년 기준 매출 87.7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으나, 영업이익은 3.43조원(-6.1%)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이는 글로벌 물류비 상승 (SCFI 지수 1년간 100%상승) 및 TV/전장 부문 수요 둔화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분기별로는 24년 4분기에 영업이익 1,461억원(-53.3% YoY)으로 시장 기대치(2,537억원)보다 크게 하회하며 단기적 부진을 노출했다.

2.2. 주식 시장 동향
나는 작년 9월쯤 투자시작했다. 90000원 초에 들어가서 10만원넘는걸 보고 지금은 7만원대까지 떨어졌다가 26일 기준으로 85000원까지 회복했다. 2025년 3월 11일 기준 주가 78,500원(시가총액 12.8조원)으로 52주 최고가 (115,400) 대비 하한가(32%) 조정 중이며 최근 1개월동안 8.2%정도의 가격 변동폭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주가로는 PER 20.15배, PBR 0.9배로 역사적 밸류에이션 밴드 하단에 위치하고 있어 나름의 저평가 주식 중 하나지 않을까 생각한다. 외국인 보유 비중 31% 정도로 국제 투자자들의 관심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3. 핵심 성장 전략
3.1 서비스형 사업 모델 전환
'업가전 2.0' 플랫폼을 통해서 세탁기 물온도, 헹굴 횟수 등 사용자 맞춤형 설정 기능을 도입했다고 한다. DQ-C AI 칩과 신규 OS 탑재로 하드웨어 제어에서 소프트웨어 주도형 생태계로의 전환을 가속화 중이다. 이로서 2024년 구독 서비스 매출이 2조원(+75% YoY) 돌파로 수익 다각화에 성공했다.
3.2 글로벌 생산 혁신
LG전자에 관심갖게 된 계기는 동남아 시장 진출 이후 좋은 매출을 보여주고 있다는 기사 때문이다. 기사가 나왔다는 것은 이미 선반영되었고 기사에 사는 건 좋지 않다고는 생각하지만, 장기투자 관점에서는 좋다고 판단됐다. 2024년 한 해동안 주가가 많이 출렁이기도 했기에 장기로 들고가기 좋다고 생각했다.
글로벌로 보면, 미국 테네시주의 LG 세탁기 공장 가동률 120% 돌파, 멕시코 Monterrey 공장 증설 완료로 북미 시장 공략 강화한다. 대만과 말레이시아에 이어 태국, 인도에서도 구독 서비스 확장하며 신흥시장의 공략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11/20/G377IQUN65FSTIYZKDDPM5FVB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LG전자 “인도 家電시장 급성장”… 세 번째 공장 짓는다
LG전자 인도 家電시장 급성장 세 번째 공장 짓는다 20년 만에 신규 생산 기지
www.chosun.com
2024년 11월 20일 뉴스 (조선일보)
3.3 기술 R&D 집중
최근 있었던 CES 2025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LG CLOi'와 이동형 AI 홈허브 'Q9'를 공개하였다. SoC 센터를 통해 TSMC 3nm 공정 적용한 자체 반도체 개발에 주력하며 차세대 CXL(Compute Express Link) 기술로 메모리 프로세서 간에 병목현상을 해소하는 기술을 선점했다고 밝혔다.
4. 산업별 경쟁 구도
4.1 생활가전 부문
LG전자의 생활가전 부문에서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14.2%로 2위(2024 GFK 데이터)를 달성했다. 중국 하이얼의 가격 공세에 맞서 AI ThinQ(씽큐) 플랫폼 강화로 프리미엄 전략을 고수한다. 2025년에는 HVAC 매출 비중 33% 정도로 확대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B2B 사업 포트폴리오 최적화 진행중이다.
4.2 TV 부문
LG전자의 OLED TV 시장에서 62% 점유율 유지하고 있다. QNED 미니 LED로 LCD 시장을 재진입하면서 삼성전자와의 기술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WebOS 플랫폼 기반 광고 매출 1조원 돌파로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수익 전환까지 가속화하고 있다.
이번 블로그 글을 작성하면서 정말 다양한 방면으로 수익을 얻고 있는 것을 알았다.
4.3 전장 부문
2024년에 전기차용 전장부품 매출 10.6조원을 기록했으나 SDV(Software Defined Vehicle) 개발 지연으로 영업이익률 1.1%에 그쳤다. 2025년에는 Ford-GW 합작법인을 통해서 전기차 파워트레인 공급 등의 확대로 실적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4.4 양자 부문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964726642103320&mediaCodeNo=257&OutLnkChk=Y
“양자컴퓨터 개발 급물살…LG전자·삼전·SKT 최대 수혜”
양자컴퓨터 기술 개발 속도가 빨라지는 가운데, 정부가 양자경제 선도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하면서 국내 증시에서 관련 주도주가 부상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증권가에선 LG전자(06
www.edaily.co.kr
2025년 3월 14일 뉴스 이데일리
최근 LG전자에서도 양자컴퓨팅에 관련해서 마이크로소프트(MS)와 연구협약 뉴스가 있었다. LG전자에서도 미래를 예상하고 양자컴퓨팅에 투자하는 것으로 보인다.
5. 결론
LG전자는 전통적 하드웨어 제조업체에서 AIoT 및 서비스 플랫폼 기업으로의 변신을 가속화 중이다.
2025년 H&A 사업부 예상 영업이익 2.3조원(사상 최대) 달성 가능성8과 webOS 생태계 확장이 주요 상승 동인이 될 전망이다. 단기적으로는 2분기 실적 발표전까지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있으나, 장기 투자 관점에서 현재 PBR 0.9배(5년 평균 1.2배)는 매수 기회로 해석된다. DCF 모델 적용 시, 104,000 ~ 140,000원 범위에서 평가될 듯 싶다.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4월 4일 한국 주식은 어떨까.. 미국 나스닥 큰 폭으로 하락 (0) | 2025.04.04 |
---|---|
(국내주식/해외주식) 글만 쓰면 떨어지네 (1) | 2025.04.03 |
4. 팔란티어와 같은 회사를 찾을 수 있을까? 빅베어AI홀딩스 (BigBear AI Holdings) (0) | 2025.03.11 |
3. 트럼프 결국 관세 시행 - 투자 실패의 글 (0) | 2025.03.04 |
2. 매달 쉽게 네이버페이 벌 수 있는 앱테크 강추 - 설문조사형 (1) | 2025.02.24 |